- Bayesian inference
- Inference: 측량된 확실성을 기반으로 샘플 데이터를 일반화하는 것
- Bayesian: Inference를 진행할 때 확실성을 측량하는 과정에서 Bayes’ rule을 이용하는 방식
- 직역하자면 다소 모호하지만 오히려 뒤 예시를 보는 편이 더 직관적이다.
- Bayes’ rule은 관측된 데이터 \( Y = y \)를 기반으로 우리가 알고싶은 값 \( H \)에 대한 probability distribution을 나타내게 해준다.
- 식 (2.1)은 (2.2)로부터 도출되며, 식 (2.2)는 product rule of probability이다.
- probability distribution을 도출하고자 하는 대상이 \( H \) 이며, 따라서 아무 데이터에도 conditional하지 않은 식 (2.1)의 \( p(H) \) 는 \( H \) 에 대한 prior이다.
- \( p(Y | H = h) \) 는 \( H = h \) 인 경우 \( Y \) 가 가질 수 있는 값들에 대한 distribution을 의미하며, 이를 observation distribution 이라고 한다.
- 위 식을 \( Y = y \) 일 때 각각 evaluation할 수 있고, 이 경우에 나오는 \( p(Y = y | H = h) \)를 likelihood라고 한다.
- likelihood function은 \( h \)에 대한 함수이고, probability distribution이기에 적분값이 1일 필요는 없다.
- 이를 normalize해주기 위해서 \( p(Y = y) \)가 분모항에 들어가고, 이를 marginal likelihood라고 한다.
- 모든 \( h \)값에 대해서 marginalize out 해주기 때문
- 결국 이 모든 것을 고려하면 posterior distribution인 \( p(H = h | Y = y) \)를 얻게 된다. 이는 새롭게 observe한 데이터 \( y \)를 기반으로 새롭게 업데이트 된 \( H \)에 대한 새로운 belief state이다.
- summarize하자면 식 (2.4)라고 할 수 있다.
- 이와 같이 Bayes rule을 이용해 unknown value에 대한 belief state를 새롭게 observe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Bayesian inference 또는 posterior inference라고 한다.
1. Example: testing for COVID-19
- Bayesian inference를 적용하는 아주 대표적인 예시로, 다음을 고려하자.
- \( H = 1, 0 \) 은 각각 코로나에 걸린 상황, 그리고 걸리지 않은 상황을 의미한다.
- \( Y = 1, 0 \) 은 각각 코로나 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경우, 그리고 음성이 나온 경우를 의미한다.
- 결국 우리가 원하는 것은 테스트 결과에 따라 실제로 코로나에 걸릴 확률이 얼마나 되는지, 그에 대한 posterior distribution \( p(H = h | Y = y) \)이다.
- 검사가 얼마나 정확한지는 아래 table을 통해 정리할 수 있다.
Y = 0 | Y = 1 | |
---|---|---|
H = 0 | TNR = 0.975 | FPR = 0.025 |
H = 1 | FNR = 0.125 | TPR = 0.875 |
- table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sensitivity, specificity 이외에도 posterior를 구하기 위해 추가로 prior를 알아야 하는데, 주어진 예제의 경우 이 prior는 prevalence, 즉 병의 발병 확률이다.
- 이 값을 임의로 \( p(H = 1) = 0.1 \) 로 설정하자. 이를 통해 posterior probability를 구해보면,
- 즉, 양성이 나왔을 때 실제로 양성일 확률은 약 79.5%인 것을 알 수 있다.
- 마찬가지 방식으로 음성이 나왔을 때 실제로는 양성일 확률을 구해보면 1.4%가 나온다.
2. Example: The Monty Hall problem
- Monty Hall problem은 살면서 한번쯤은 들어봤을 법한, 그러나 그리 직관적이지는 않은 문제이다.
1, 2, 3번으로 라벨링 된 세 개의 문이 있다. 세 개의 문 중 하나의 문 뒤에는 큰 차가 상품으로 숨겨져있다. 먼저, 참가자가 하나의 문을 고른다. 사회자는 나머지 두 개의 문 중 차가 있지 않은 문을 열어 참가자에게 보여준다. 그리고 처음 선택한 문이 아닌 다른 하나의 문으로 선택을 바꿀 기회를 준다. 이 때, 참가자는 문을 바꿔야 할까?
- 직관적으로는 문을 바꾸든 말든 확률에는 차이가 없어야 할 것 같다.
- 그러나 실제로는 문을 바꾸는 것이 당첨될 확률을 두 배 늘리는 것이 된다.
- 이를 설명하기 위해 Bayes’ rule을 이용할 수 있다.
- \( H_i \): 상품이 \( i \) 번째 문 뒤에 있는 지
- \( Y \): 몇 번째 문을 사회자가 열었는 지
- 몇 번째 문에 상품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알고 있는 바가 없으니 prior는 세 경우 모두 1/3로 동일하다.
- 이제 likelihood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한데, 문 1번을 열었다면 사회자가 문 2번 또는 문 3번을 열어야 하므로 옵션은 \( Y = 2 \) 또는 \( Y = 3 \) 뿐이다.
- prior과 likelihood가 정해졌으니 posterior를 계산할 수 있는데, 문에 주어진 숫자는 arbitrary하기 때문에 \( P(H_1 | Y = 2) = P(H_1 | Y = 3) \) 이다. 따라서 한 경우만을 고려한다.
-위 식을 통해 posterior probability를 각각 구하면,
\[P(H_1 | Y = 3) = \frac{1}{3} , P(H_2 | Y = 3) = frac{2}{3} , P(H_3 | Y = 3) = 0 \qquad{(2.14)}\]- 결국 사회자가 선택하지 않은 나머지 한 문으로 선택지를 바꾸는 것이 실제로 확률이 두 배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3. Inverse problems
- Probability theory에서는 \( h \) 라는 state가 있을 때, 이로부터 도출되는 observation \( y \)를 예상하고자 한다.
- 이와 반대로, invserse probability는 그 반대를 수행하고자 한다.
- 다시 말해, observation \( y \) 로부터 실제 state인 \( h \) 를 도출하고자 한다.
- Figure에 나와있는 것처럼, 2d 이미지 하나인 \( y \) 로부터 3d shape인 \( h \) 를 유추하고자 하는 경우이다.
- 사실 이것은 상대적으로 extreme한 case이고, 실제로는 위와 같은 문제는 random guessing에 불과하기 때문에, 이보다는 많은 조건이 주어지고 그 조건에 맞는 feasible한 solution을 찾게 된다.
- 예를 들어, CT 촬영을 할 때 360도 각도에서 모두 촬영을 하면 정확한 image를 reconstruction 할 수 있지만 그의 subset만을 얻었을 경우 완벽한 reconstruction이 어렵다.
- 이러한 문제들은 알맞은 prior를 이용해서 feasible solution을 찾게 되며, 관련된 대표적인 문제로 sparse-view CT, limited-angle CT 등이 있다.
- Bayesian perspective에서 말하자면, posterior인 \( p(h|y) \) 를 찾기 위해 prior인 \( p(h) \) 와 forward model \( p(y|h) \) 를 이용하여 plausible solution을 찾게 된다.
- 여기서 likelihood가 아닌 forward model이라는 어휘를 쓰는 이유는 inverse problem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이런 단어를 쓰기 때문이다.
- Inverse problem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, 대체로 inverse problem들은 경우의 수가 무한히 많은 ill-posed problem이다.
- 더 자세한 내용은 2권에서 다뤄진다고 한다.